본문 바로가기
통합한의학 Integrative Korean Medicine/Integrative Medicine

어떻게 침을 놔야할까?

by Dr. Lena Kim 2020. 4. 12.

기초개념

1) 자인경기 : 침을 놓으면 그 곳에 기운이 몰려든다.

刺引經氣 : 자침이 경맥의 기를 끌어당긴다

침을 놓은 부위로 기혈이 몰린다는 것이 침치료의 기본명제

調氣治神 - 조기하는 도구로 침을 사용하는 것인데 그럼 어떻게 조기할 것이냐 하는 부분이 침처방의 구성

특정부위로 기혈을 모아서 불균형을 이루고 있는 경맥의 기운편차를 줄여주는 것이 調氣

밸런스를 맞춰주는 것

 

2) 경맥유주 : 경맥을 따라 기가 순차적으로 흐른다. 

특정 경혈에 침을 놓으면 그 경락이 활성화 되어 그 경락의 순환이 잘 된다고 가정하고 침치료 

 

3) 대응 

A. 경맥간대응

ex1. 수태음-족태음 

ex2. 오른쪽 어깨 통증에 좌측 수태양경혈 자극 

우측 엄지발가락 안쪽 (족태음)이 아플때, 1) 좌측 태백(족태음)에 침을 놓고나 2) 족경-수경 대응으로 수태음에 태연

가장 먼 부위에서 당겨서 통증처의 기혈폐색을 풀어주면서 통증부위를 환자 스스로 움직이게 해서 동작침

 

B. 말초-중심간 대응 (말초-장부/ 말초 - 두면)

경맥의 시작과 끝 부위는 상통한다.

수태음 흉부의 불편함에, 손 끝 부분인 내관이나 태연혈 사용 

두통에는 정혈을 많이 쓴다 (두 -> 족 : 족양경)

 

상하 좌우 기류의 조절 

상병하취 하병상취 : 기혈이 상부로 쏠려있다면? 침을 아래에 놓아서 끌어내려준다.

양명경을 따라 위로 솟구쳐 전두통, 면적, 안검경련, 입주위 경련이 오는 상황이면 여태, 내정, 함곡 등에 자침하여 기혈을 아래로 내려주고

태양경을 따라 위로 솟구처 항상, 견비통, 후두통이 생기면 지음 족통곡 속골 등으로 끌어내려준다.

만약 위쪽의 병이더라도 허증으로 오는 현기증, 무기력감, 안면경련등이 있을때 아래쪽으로 끌어내려주면 악화될수 있으니 상부의 경락 위주로 자침 또는 두면부로 끌어올리는 백회

ex1. 견비통 특효혈 : 후계 완골 임읍 인데, 상기로 인한 견비통- 임읍; 상허하실로 인한 견비통-후계 를 선택하는 식으로 

ex2. 허증 중풍의 경우, 편측이 마비되어 편측의 기혈이 돌지않는 허증일 경우, 허증 부위를 먼저 취혈하여 기혈을 한쪽으로 모으거나 허증 부분에 침을 더 모아서 기혈이 더 몰리게 하거나, 침을 더 오래 꽃아놓거나

 

유주성취혈 

경맥에 유주방향과 순서가 있는데, 경맥 혈자리를 유주순서대로 자극하여 경맥 흐름을 활성화한다.

태연-곡지-삼리-태백 이런식으로.  -> 수족태음양명경의 순환이 좋아지면서 치료가 된다. (여기에 머리와 임맥 독맥의 혈을 가한다)

 

ex1. 무릎이 아픈데, 족양명경 부위인 슬개골 앞부분이 아프다. 

앞경인 (수태음폐-태연 곡지) 부터 시작해서 본경 (족양명위-삼리)를 지나 다음경 (족태음비-태백)까지 움직이도록 

ex2. 기운이 아래로 쳐저서 다리가 붓는다. 

밑에서 퍼올리기 위해서 태백 (족태음비 - 태백) 놓고 위로가서 끌어올리기 위해 수경인 심-소장으로 가므로 소부, 양소해 이렇게 순서대로 취혈

ex3. 기시종지혈 취혈해서 열어주고 앞뒤에서 당기는 방법

삔 경우같은 외상성 질환에 좋은데, 막힌 정혈을 사혈로 풀어주면 그 경의 정체가 풀리고, 전후 경락의 취혈로 순환촉진

발목 구허부가 삐었다 하면 

규음혈(족소양담경)을 사혈하고  본경 차경취혈로 양보- 삼음교, 양릉천 - 삼음교 

 

위치적대응 취혈 

전식배이론 : 인체의 작은 부위에 인체의 축소판이 들어있다는 개념

예를들어 이침 : 귀가 인체 전체에 해당한다는 개념으로 보고 혈위를 정한다.

수지침, 동씨침, 파동침 이침 등 

특히 유명한 혈 주위로 존재하는 혈위들. 후계- 완순12, 음릉천 삼음교-신관 하삼황 등 

 

혈성취혈 (특효혈)

특정효과를 나타내는 혈자리들이 있다 

ex1. 요통에 후계 : 중수골을 하나의 인체로 보는 전식배이론에서 나온것이기도 하지만, 특효혈이기도 

ex2. 어혈방의 태백 : 어혈풀어줌

ex3. 코질환에 영향

ex4. 눈질환에 정명 풍지 

ex5. 요통에 후계 곤륜

ex6. 복통에 삼리

ex7 사총혈

ex8. 육총혈 

ex9. 구안와사 합곡

ex10. 사암침의 천부혈

木木 火火 土土 金金 水水
대돈 소부  태백 경거  곡천
임읍 양곡 삼리 삼리 족통곡

ex 발기부전에 목기를 올리기 위해 대돈보,

ex 화기를 사하기위해 소부사 곡천보 

ex 사암침 특수방들 어혈방, 후비방, 후열방, 상화방 효과 좋음

ex11. 배수혈 복모혈 

예를들어 전립선비대증으로 소변불리한 경우 방광의 복모혈 또는 곡골 - 관원,  중극, 곡골

 

아시혈과 자침의 깊이 : 피육맥근골 

피육맥근골에 따라 천심을 다르게, 특히나 아시혈에서는 이 천심이 중요

ex1. 발목염좌로 구허에 침을 놓을때 : 전거비인대의 손상이고, 당연히 심자해야 함. 뼈에 닿도록.

ex2. 내외슬안 : 내외슬안 통증이 뼈로 인한 것이라면 (퇴행성), 두꺼운 침으로 깊게 심자해야함.

ex3. 무릎의 내외측측부인대 : 정확한 위치에 적절한 깊이로 자입되어야 효과

ex4. 근육문제는 중간정도 깊이로. MPS + 방산통 (신경분포보다는 경락유주와 비슷하게 나타남)

ex5. 피부의 병(화상이나 소양증)등은 환처주위로 얕게 자침, 사혈 

ex6. 석호침 : 근골의 병일때 깊이 자침해야 효과가 나는 혈자리들이 있는데, 실제로 촉지해보면 구멍처럼 열려있는데 정확히 놓으면 강한 효과. 척추관 협착증, 디스크, 관절염 같은 경우 두꺼운 석호침으로. 
하관, 풍지, 예풍, 견우, 견료, 팔료, 슬안, 환도, 구허 

특공군의관의 동영상 - 근육심천 개념이 잘 설명되어있다